최근 들어 김경일 파주시장을 향해서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게 중에는 ‘금성의 집’ 보도와 같은 파주시의 부주의한 업무를 지적하는 보도도 없지 않으나 ‘황제수영’ ‘관용차 구입’ ‘유럽 여행’ ‘강릉 산불 성금’ 등을 주제로 사실상 가십거리에 불과한 내용을 확대해서 거의 매일 부정적인 보도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김경일 시장이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용주골 성매매지 폐쇄’와 관련해서는 성매매 종사자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한 보도를 하고 있어서 언론의 공정성이나 보도의 진실성에 대해서도 의심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 일부 언론의 보도 행태에는 어떤 배경이 있을까?
언론사 소식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그동안 막대하게 지급되던 파주시의 광고비를 김경일 시장들어서 중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들의 일치된 견해다.
실제로 본지가 파주시를 상대로 정보공개를 청구하여 받아낸 자료에 의하면 김시장에 대한 공격적인 보도를 이어가고 있는 모 뉴스 통신사에는 2021년에는 8,400만 원을 지급하였고, 2022년에는 상반기에만 8,500만 원을 광고비로 집행하였다.
모 지방 일간지에는 2022년 한 해 광고비와 각종 사업성 홍보비를 합쳐서 총 1억 4천만 원에 이르는 광고 홍보비를 집행하였다. 게다가 이 지방 일간지는 파주시에서 발주하는 인쇄물 사업도 수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자료를 살펴볼 때 이들에게 집행된 광고 홍보비는 다른 언론사와는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사실상 특혜에 가까운 집행이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보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이들 일부 언론사 기자들은 파주시에서 발주하는 각종 이권 사업에 공공연하게 관여를 해왔고, 파주시의 공무원 인사에도 개입을 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언론사들이 김경일 시장 취임 후 광고비 집행 정상화, 인사개입 거부 등의 조치를 취하자 기사를 통해서 김 시장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실제로 이들 중 한 기자는 본인이 쓴 김시장에 대한 공격성 기사를 타사 동료 기자들에게 받아 써줄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어서 이러한 정황을 더욱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김 시장의 역점 사업인 ‘용주골 성매매지 폐쇄’와 관련해서도 성매매 업소들을 중심으로 강력한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폐쇄 준비를 명목으로 ‘3년 간의 유예’를 달라고 파주시에 요구를 하며 지난 4월에는 파주시청사에 불법적으로 난입을 하는가 하면 김경일 시장에 대한 인신공격성 루머를 적은 프래카드를 성매매 업소에 계시를 하고, 성매매 업소 주변에 CCTV를 설치하려는 것을 몸으로 막아서서 설치를 무산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이 요구하는 ‘3년 유예’는 근거도 미약하고 법적으로도 타당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현 시장의 임기 말까지 성매매 영업을 계속하겠다는 꼼수에 불과한 것이라고 시민들은 입을 모은다.
김경일 시장의 개혁 행보에 대한 기득권 세력의 저항으로 인해서 김 시장의 시정 운영 동력이 떨어지지 않을까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언론에 대한 특혜성 광고비 집행을 정상화하고, 성매매 업소를 폐쇄하는 등의 개혁적 조치들로 인해서 시장은 물론 파주시 전체가 논란에 휩싸인다면 PMC(파주메디컬 클러스터) 사업, 미군 공여지 개발 등의 시급한 현안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돌아올 것이기 때문에 하루빨리 정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물론, 김경일 시장이 ‘불통’이라는 세간의 평가를 받는다든가, 언론사에 가십거리를 제공한 부주의와 불찰에 대한 지적도 일부 언론에서 제기되고 있고, 비록 일부이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시민적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순수한 시민적 우려와는 달리 김 시장의 ‘개혁 행보’에 대한 기득권의 저항은 ‘시민적 연대’를 통해서라도 척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대다수 시민들의 여론이다.
pajuok@naver.com 내종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