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아이돌봄 광주지회가 10월 22일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시의 아이돌보미 처우개선 외면을 규탄하며 근속수당과 복리후생비 도입을 촉구했다.
노동조합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이돌보미는 양육 가정의 공백을 메우고 일·가정 양립을 돕는 필수 돌봄노동자”라며 “광주시는 이들의 처우 개선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황왕택 본부장은 “노동조합은 수개월간 광주시와의 면담을 통해 장기근속수당과 복리후생비 도입을 요구했지만, 시는 형평성을 이유로 이를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추석 이후 시장실을 방문했을 때조차 관련 보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광주시는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에 어떠한 의지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하 아이돌봄 광주지회장은 “노동조합의 절실한 요구가 왜 시장실에 보고조차 되지 않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광주시가 ‘3대가 행복한 복지도시’를 표방하면서 아이돌보미를 배제하고 있다면 이는 말뿐인 공약”이라고 비판했다.
노동조합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10년을 일하나 1년을 일하나 같은 임금이 아니라, 돌봄 경력이 인정받는 노동환경을 요구한다”며 “근속수당과 복리후생비 쟁취를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밝혔다. 또 “광주시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 올해 말 전국 최초로 하루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공공연대노동조합과 사용자인 광주시가족센터는 2024년 12월부터 임금교섭을 이어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2025년 9월 경기지방노동위원회로부터 조정 중지 판정을 받았다. 이후 노동조합은 광주시가 위탁기관으로서 예산을 투입해 근속수당과 복리후생비 제도를 도입할 것을 요구했지만, 광주시는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 경기본부 운영위원들과 아이돌봄 광주지회 조합원, 진보당 광주시위원회 관계자들이 참석해 파업 예고 투쟁에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