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는 부업 사기 문제가 심각하다. 최근 청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 어플에서 ‘부업’이라는 키워드를 넣어 검색해 보면, 약 300만개 이상의 글이 검색된다. 인터넷에서는 ‘부업사기’에 관한 피해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노동부는 올해 10~11월 두달간 청년들의 주요 구직 통로인 온라인 채용공고상 불공정행위 점검을 통해 채용절차법의 사각지대를 없애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단속 범위가 지나치게 한정적이고 시기도 짧아 불공정 행위에 대한 단속이 제대로 이루어질지 의문이다.
26일(목)에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정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경기 파주시을)은 노동부장관에게 ‘부업을 가장한 사기가 SNS상에서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냐’며, ‘육아 휴직 중 부업을 하고자 하는 주부 혹은 취업 준비 중인 청년들이 이러한 사기 수법에 넘어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 의원은 사기 수법을 알아내기 위해 실제 사기범과 연락을 시도했다. 한 계정에서는 ‘광고대행사의 일거리를 온라인상에 홍보해주는 간단한 업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말과 함께 ‘개인 홈페이지를 개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비용 321만원, 242만원, 198만원 정도가 든다’고 말했다. 다른 계정에서는 ‘슬롯게임’을 통한 부업을 소개하며, 역시 초기비용으로 최소 100만원 이상을 요구했다.
박정 의원은 ‘실제로 수법은 더욱 다양하고 나날이 교묘해지고 있다’며, ‘문자, 각종 SNS 플랫폼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취업 사기 및 부업 사기에 대한 점검을 확대하고 지금보다 더 강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