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의 아버지
  • 구부러진 못 1

    -시인의 아버지

     

    시인 장종국

     

    새삼스럽게 아버지라는 존재를 생각해본다. 어릴 적 아버지는 하늘처럼 위대한 존재였다가 마지막에는 구부러진 못처럼 나약한 존재로 비춰지는 모습이 아닐는지. 자식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인들 가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아버지의 본성일 것이다. 잘되고 못되는 것은 모두 아버지 탓이라면 나도 할 말 없는 듯하다. 돈 많은 것도 아니고, 직업 또한 번듯하지 않고, 권력을 가진 것도 아닌 너무나 평범하다 못해 부족하여 자식들에게 때로는 부끄러울 때도 있으니 말이다.

    현실의 아버지 등은 딱딱한 나무에 깊숙이 박혀 이미 썩어 구부러진 못이거나, 견고한 시멘트벽에 박기 전 구부려진 상태라면 어떨지.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서라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가슴에 박히는 못이 되어준다.

     

    시인들의 아버지는 어떤 아버지일까. 시 속에서 그 대답을 찾아보자.

    나희덕 시인의 아버지는 아슬아슬하고 위태한 못 하나에 의지하여 집을 꾸리고 새끼들을 키우고 꾸벅이며 잠드는 것이라며, 제비집에서 그 해답을 구해 <못 위의 잠>을 노래한다.

     

    저 지붕아래 제비집 너무도 작아/ 갓 태어난 새기들 만으로 가득차고

    어미는 둥지를 날개로 덮은 채 간신히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옆에 누가 박아 놓았을 까요/ 못 위에 앉아 꾸벅거리는 제비들

    눈이 따갑도록 올려봅니다//

    못 하나 위에서 견디는 것으로 살아온 아비,//

    거기에선 아직 흙바람이 몰려오나 봐요/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은 그런대로

    식구들의 손잡은 그림자를 만들어 주기도 했지만

    그러기엔 골목이 너무 좁았고/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그 꾸벅거림을 기억나게 하는 못하나,/ 그 위의 잠

     

    아슬아슬하고 위태한 못 하나에 의지하여 집을 꾸려 새끼들을 키우고 꾸벅이며 잠드는 아버지 모습을 상상해본다.

     

    정호승 시인도 벽에 박혀 빠져나오면서 구부러진 <못>으로 아버지를 그렸다.

     

    벽에 박아두었던 못을 뺀다/ 벽을 빠져나오면서 못이 구부러진다

    구부러진 못을 그대로 둔다/ 구부러진 못을 망치로 억지로 펴서

    다시 쾅쾅 벽에 못질하던 때가 있었으나

    구부러진 못의 병들고 녹슨 가슴을/ 애써 헝겊으로 닦아 놓는다

    뇌경색으로 쓰러진 아버지/ 공중목욕탕으로 모시고 가서

    때밀이용 침상 위에 눕혀 놓는다/ 구부러진 못이다 아버지도

    때밀이 청년이 벌거벗은 아버지를 펴려고 해도/ 더 이상 펴지지 않는다

    아버지도 한 때 벽에 박혀 녹이 슬도록/ 모든 무게를 견뎌 냈으나

    벽을 빠져 나오면서 그만/ 구부러진 못이 되었다

     

    아버지 몸통은 하늘이다. <별>처럼 총총하게 못을 박고선 빛나는 존재다.

    박완호 시인의 아버지는 평생 하늘에 별을 박고 살아온 목수였나 보다.

     

    목수였던 아버지는 죽어서

    밤하늘 가득

    반짝이는 순금의 못을

    박아 놓았네//

    텅,

    빈,

    내 마음에

    화살처럼 와 꽂히는

    저 무수한

    상흔들

     

    하늘의 별은 이렇게 시인 아버지의 상흔으로 남아, 순금으로 만든 못으로 채워졌으리라는 발상이 참으로 빛나고 아름다운 말이다. 시인의 아버지는 구부러진 못일지라도 행복하고 여유롭다.

     

    김현승의 <아버지 마음>에서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고 했다.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는 어린것들이 간직한 깨끗한 피로 씻김을 받는다고 했다.

     

    바쁜 사람들도/ 굳센 사람들도

    바람과 같던 사람들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어린것들을 위하여/ 난로에 불을 피우고

    그네에 작은 못을 박는 아버지가 된다.//

    저녁바람에 문을 닫고/ 낙엽을 줍는 아버지가 된다.//

    세상이 시끄러우면/ 줄에 앉은 참새의 마음으로

    아버지는 어린것들의 앞날을 생각한다.

    어린것들은 아버지의 나라다 아버지는 동포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 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

    아버지는 비록 영웅이 될 수도 있지만…//

    폭탄을 만드는 사람도/ 감옥을 지키던 사람도

    술가게의 문을 닫는 사람도//

    집에 오면 아버지가 된다./ 아버지의 때는 씻김을 받는다.

    어린것들이 간직한 그 깨끗한 피로…

     

    -asistch@hanmail.net




  • 글쓴날 : [21-05-05 23:08]
    • admin 기자[null]
    • 다른기사보기 admin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