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해 생애를 바쳤던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 언론인인 고(故) 장준하 선생의 서거 50주기 추도식이 17일 오전 10시, 파주시 통일동산 인근 장준하공원(탄현면 성동리 688)에서 엄숙히 거행됐다.
“민주, 평화, 통일을 향한 걸음, 그 뜻을 잇다”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추도식은 (사)장준하기념사업회 주관, 시민추모위원회 주최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장호권 장준하기념사업회 회장을 비롯한 유족과 전국 각지에서 모인 독립유공자 후손, 시민 3백여 명이 참석했으며, 우원식 국회의장, 정대철 헌정회장,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경일 파주시장, 박대성 파주시의회 의장, 박은주, 손성익 파주시의원, 전종호 국가보훈부 서울지방보훈청장, 임진택 50주기 추모위원회 집행위원장 등 정치·학계 주요 인사들도 대거 자리를 함께해 고인을 기렸다.
■ “시대를 밝히는 양심이자 실천가”
우원식 국회의장은 추모사에서 “장준하라는 이름은 시대의 어둠을 밝히는 꺼지지 않는 양심이자 실천가였다”며 “광복 80년을 맞은 이 시점, 선생의 실천적 유산을 더욱 각별히 되새기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분단구조를 넘어설 때에야 평등과 자유, 정의가 온전히 실현될 수 있다는 선생의 말씀을 오늘의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의 추모사를 대독하며 “장 선생은 광복군으로, 백범 김구의 비서로, 언론인으로 시대를 앞서 산 인물이었다”며 “그 숭고한 정신을 정부가 계승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정대철 헌정회장은 “정의롭고 용기 있는 애국열사, 그 한마디로 장준하 선생의 삶을 설명할 수 있다”며 “김구 선생의 뜻과 사상계의 정신을 계승한 삶은 오늘에도 큰 울림”이라고 평가했다.
■ 추모의 울림, 시민 다짐으로
추도식은 이응식 전 광복회 기조실장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그는 “억울한 죽음의 진상조차 밝혀지지 못한 채 50년이 흘렀다”며 “지금이야말로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 선생의 자필 시 「민족주의자의 길」이 고 성내운 교수의 녹음 육성으로 낭송돼 청중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민중춤꾼 장순향의 ‘초혼’ 공연, 합창단 ‘봄날’의 추모곡 무대에 이어 시민들은 독립군가를 함께 제창하며 장 선생의 정신을 기렸다.
김경일 파주시장도 추모사에서 “장준하 선생의 묘소가 우리 파주에 있다는 것은 영광이자 책임”이라며 “선생이 꿈꾼 민주주의와 정의, 평화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
| 김경일 파주시장 추모사 장면 |
현장에서는 황금회화나무 두 그루가 ‘사상계나무’, ‘장준하나무’로 명명돼 심어졌다. 이는 장준하 선생이 창간한 잡지 《사상계》의 정신을 되살리고, 정의롭고 민주적인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
| 우원식 국회의장, 정대철 헌정회장 등이 '사상계나무'와 '장준하나무'를 식재하고 있다. |
■ “억울한 죽음, 여전히 풀리지 않은 진실”
1918년 평안북도 의주 출생인 장준하 선생은 일본군 학도병으로 입대했다가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했으며, 해방 후 김구 선생의 비서로 활동하며 독립국가 건설에 헌신했다. 또한 월간 《사상계》를 창간해 독재와 부정부패에 맞섰다.
그러나 1973년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벌이다 긴급조치 1호 위반으로 투옥되었고, 병보석으로 풀려난 지 채 1년이 되지 않은 1975년 8월 17일, 경기도 포천 약사봉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추락사’로 발표됐으나 이후 유골 감식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타살 가능성이 제기돼 지금까지 진실 규명의 과제로 남아 있다.
■ “못난 조상이 되지 않기 위해 싸웠다”
유족 대표로 인사에 나선 장호권 장준하기념사업회 회장은 “50년 동안 선생의 뜻을 이루겠다고 다짐해왔다”며 “이제는 반드시 부패와 불의의 잔재를 걷어내고 새로운 역사를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도식 현장에서 모인 시민들은 “민주주의와 평화, 통일을 향한 길 위에서 장준하의 뜻을 잇겠다”는 다짐을 함께 외치며 추모식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