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박정 의원 “ 정부 스스로도 수소차 구매 꺼리는 상황 … 수소차 보급 정체 , 근본적 전략 수정 시급 ”

경찰청 802대 교체계획 중 16대 구매에 그쳐… 올해 예산도 전액 삭감
박정 정부가 현실 인정하고, 현실에 맞는 단계별 전략으로 전환해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28일 종합감사에서 정부가 수소경제와 무공해차 전환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지만, 실제 수소차 보급은 정체 상태에 빠졌다, “정부 스스로도 수소차를 구매하기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1]연도별 수소차 보급현황()

연도

18

19

20

21

22

23

24

25.6

보급대수

()

731

4,197

5,843

8,532

10,256

4,673

3,784

1,237

보조금액

(억원)

148

1,259

2,177

2,290

2,888

3,223

3,332

2,927

 

박 의원은 경찰청의 수소버스 사업을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았다.

경찰청은 10년간 802대의 경찰버스를 수소버스로 교체하겠다는 계획 아래 현대차와 MOU를 체결했지만, 2025년 현재까지 구매된 차량은 16대에 불과하다. 박 의원은 올해 신규 구매 예산도 전액 삭제되어 사실상 경찰수소버스 전환사업이 중단된 상태라며 정부가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공공부문에서조차 수소버스 도입을 포기한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수소차 확산이 어려운 구조적 이유도 제시했다.

2025년 현재 전국 전기차 충전기는 약 59만개소인데 반해, 수소충전소는 250개소 남짓에 불과하다. 박 의원은 수소버스 한 대 가격은 약 7억 원으로 일반버스의 2~3라며 연료비마저 전기버스보다 비싸다. 청정수소 공급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고 연료 단가도 불안정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2]전기차 충전과 수소차 충전 비교

구분

충전소 현황

1회 완충 비용

(평균)

1회 주행거리

(평균)

1km 당 연료비

(평균)

전기차

전국 약 59만개

25,000~35,000

(급속 완충 기준)

300~400km

60~90

수소차

전국 233

50,000~64,000

(넥쏘 기준)

600km 내외

83~92

 


마지막으로 박정 의원은 김성환 장관에게 정부는 수소차 보급 정체를 일시적 조정기로 보는지질문하며, “단기간 내 확산이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고, 보급 전략 수정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